
키워드: 윈도우, 리눅스, Windows, Linux, X11-forwarding, MobaXterm, 원격 제어, GUI, IDE, 코딩, 프로그래밍 서론 원격 서버에서 개발해야 할 때, vi로 IDE 없이 날코딩을 하는 사람이 많은 것 같음. 당연히 매우 비효율적 이나 대략 아래와 같은 이유로 날코딩을 하는 것 같음. Ubuntu Server 등을 사용중이라 Gnome 등의 데스크탑 환경이 깔려있지 않음 xrdp 등 원격 데스크탑 포트가 막혀 있음 리눅스에서 돌아가는 적당한 IDE를 모르겠음 그냥 평소에 IDE를 쓸 생각조차 없음 마지막에 해당되는 프로그래머는 머리박고 반성해야 함. 하지만 SSH만 접속되는 환경에서, 리눅스 서버에 데스크탑 환경이 깔려있지 않아도, GUI 프로그램을 원격으로 띄우는 ..
윈도우 설치 이후, IDE/AHCI 모드를 변경할 필요가 생길 수 있습니다. 운이 좋으면 BIOS에서 원하는 모드로 전환하는 것 만으로 아무런 문제없이 부팅이 되지만, 아닌 경우, 부팅 자체가 안되는 경우가 생깁니다. 이런 경우, IDE/AHCI 모드를 변경한 직후, 안전모드에 한번 진입하는 것으로 간단히 시스템 설정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. 윈도우 8은 안전모드에 진입하는 법 자체가 이전 버전들과 판이하게 다릅니다. 아래 과정을 참조하시면 됩니다. [Win]+[I]키로 참바를 불러냅니다.[Shift]키를 누른 채로 시스템 종료 메뉴의 '다시 시작'을 선택합니다.문제 해결 - 고급 옵션 - 시작 설정 - 다시 시작컴퓨터가 재부팅됩니다. 윈도우로 진입되기 전에 바이오스로 들어가 IDE/AHCI모드를 바꿉니다..